매년 8월, 우편함에 들어있는 낯익은 고지서.
"이거 뭐였지?" 하고 열어보면 바로 주민세 고지서입니다.
놓치면 가산세 부담 + 체납 불이익까지 생길 수 있는 주민세!
2025년 납부 기간, 대상, 금액, 면제 조건, 납부 방법까지
한 번에 정리해드립니다.
1. 주민세란?
주민세는 우리가 거주하고 있는 지자체(시·군·구)의 공공 서비스 운영을 위한 지방세입니다.
-
도서관 운영
-
공원 및 도로 관리
-
주민센터 운영 등 지역복지 기반에 사용되는 '지역 회비'와 같은 개념입니다.
2. 납부 대상 & 기준
항목 | 내용 |
---|---|
과세 기준일 | 매년 7월 1일 |
납부 대상 | 해당 지자체에 거주하는 만 18세 이상 세대주 |
금액 | 지자체별 상이 |
📌 반드시 고지서 또는 위택스에서 확인 필요!
지역 조례에 따라 금액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.
3. 면제 대상 체크리스트
다음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주민세 면제 가능합니다:
-
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자
-
미성년자 세대주
-
단독세대인 만 30세 미만 미혼 자녀
-
외국인 등록 후 1년 미만자
👉 고지서 수령 즉시 대상 여부 확인!
이중 납부된 경우 환급 신청도 가능합니다.
4. 2025년 주민세 납부 기간
구분 | 기간 |
---|---|
기본 납부기간 | 2025년 8월 16일(토) ~ 8월 31일(일) |
연장 납기일 | 2025년 9월 1일(월) (8/31이 일요일이므로 자동 연장됨) |
✅ 주의: 납부 지연 시
3% 가산세 + 월 0.66% 연체료 발생
장기 체납 시 재산 압류 등 불이익
5. 주민세 간편 납부 방법 5가지
방법 | 상세 설명 |
---|---|
1. 스마트 위택스 앱 | QR코드 또는 전자납부번호 입력 → 모바일 1분 납부 |
2. 위택스/이택스 홈페이지 | 24시간 납부 가능, 지역별 사이트 별도 |
3. 간편결제 앱 | 카카오페이 / 네이버페이 / 토스 → 공과금 납부 메뉴 |
4. 은행 방문 또는 ATM | 전국 은행 창구 또는 CD/ATM에서 전자납부번호로 납부 가능 |
5. ARS 전화 납부 | 지자체별 ARS 번호 통해 카드 결제 가능 (간편하지만 수수료 유무 확인 필수) |
전자송달 + 자동납부 혜택
전자송달(이메일·카톡 등)과 자동납부를 함께 신청하면?
👉 최대 1,600원 세액 공제 받을 수 있습니다!
📌 요약 정리
항목 | 내용 |
---|---|
납부 기간 | 2025.08.16 ~ 2025.09.01 |
대상 | 7월 1일 기준, 만 18세 이상 세대주 |
금액 | 4,800원 ~ 12,500원 (지역별 상이) |
면제 | 수급자, 미성년 세대주 등 |
방법 | 위택스, 스마트위택스 앱, 이택스, 은행, ARS |
혜택 | 전자송달 + 자동납부 시 최대 1,600원 공제 |
✍️ 마무리 한마디
주민세는 지역사회를 위한 기본 의무이자 책임입니다.
하지만 면제 대상인지 확인하고,
가산세 없이 기한 내 납부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2025년 8월, 우편함에 도착한 고지서 확인 후
위택스나 이택스 앱으로 간편하게 납부하세요!
0 댓글